유용한 업무 툴

설문조사 만들기 #2. 구글폼(설문지) 활용한 설문지 만들기

90년대생 직장인 2019. 9. 10. 12:00
반응형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설문조사는 보통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사용하게 되는데요

이전에 방식은 종이로 된 설문지를 배포하고

작성된 설문지를 모두 모아 작성된 내용을 하나씩 정리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설문지가 많아지거나 설문지 양식에 문항수가 많아지면

취합하기 위한 단순 시간 소비가 많아지게 되는데요

 

이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온라인 설문조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설문조사 만들기 두 번째 시간으로 

'구글 폼(설문지)'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글 폼(설문지)을 활용한 설문조사 만들기>

1. 구글폼(설문지) 접속

https://www.google.com/intl/ko_kr/forms/about/ 를 접속하거나

검색창에 '구글폼'을 검색하여 접속하여 설문지를 선택합니다.

- 구글 클라우드 문서 서비스에선 '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설문지' 기능을 지원합니다.

- 저희는 설문조사를 만들기 위해 '설문지' 기능을 선택합니다.

2. 구글폼(설문지) 작성

- '새 양식 시작하기'에서 템플릿 또는 내용 없음을 클릭하여 시작합니다.

 

3. 설문 제목 입력

- '제목 없는 설문지'를 클릭하여 제목 / 설문 설명을 작성합니다.

 

4. 설문 항목 작성

- '제목 없는 질문'을 클릭하여 설문 항목들을 작성합니다.


※ 응답항목 종류

<기본>

1) 단답형 : 응답자의 단답형 텍스트의 답변을 수집합니다.

2) 장문형 응답자의 장문형 텍스트의 답변을 수집합니다.

3) 객관식 질문 : 보기 항목을 추가하여 응답자가 1개의 단일 답변을 수집합니다.

4) 체크박스 : 보기 항목을 추가하여 응답자가 1개이상의 복수 답변을 수집합니다.

 

 

5) 드롭다운 : 보기항목을 목록으로 표시하여 응답자의 1개 단일 답변을 수집합니다.

6) 파일 업로드 : 응답자의 첨부파일을 수집합니다.

7) 직선단계 : 응답자의 항목별 선호도 점수를 수집합니다.

8) 객관식 그리드 : 표로 표시된 항목들 중 행마다 1개의 열 항목을 선택합니다.

9) 체크박스 그리드 : 표로 표시된 항목들 중 행마다 1개 이상의 중복된 열 항목들을 선택합니다.

10) 날짜 : 날짜를 달력에서 선택하여 날짜를 수집합니다.

11) 시간 : 시간 데이터를 입력하여 수집합니다.


5. 설문 미리 보기

- 작성된 설문지를 확인하기 위해 '미리 보기'를 클릭합니다.

반응형

6. 응답 설정하기

- 응답자의 응답 설정을 수정합니다.

1) 이메일 주소 수집 : 설문지 완료 후 제출 시 응답자가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여 이메일 주소를 제출합니다.

2) 응답 횟수 1회로 제한 : 응답자가 동일 디바이스에서 중복으로 응답하지 못하도록 설정합니다.

3) 응답자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 

    - 제출 후 수정 : 응답자의 답변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요약 차트와 텍스트 응답 확인 : 응답자의 응답 결과로 전체 응답 데이터 확인이 가능합니다.

4) 퀴즈 탭 : 설문항목을 퀴즈로 바꿔 응답 결과에 따른 점수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7. 설문 공유하기

- 설문 수집을 위한 링크 공유 / 메일 보내기 / 웹페이지 삽입을 선택하여 설문지를 공유합니다.

8. 응답 데이터 분석하기

-  생성된 스프레드 시트로 데이터를 분석하며 필요시 CSV 파일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위 기능들 외 추가적인 기능들이 많지만 위 내용만으로도

기본적인 설문지 작성을 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겁니다.

구글 폼의 경우 퀴즈로 응답 데이터를 점수로 볼 수 있어 간단한 설문 외 교육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페이지별 문항별 답변 결과에 따라 섹션 이동의 로직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설물/퀴즈 양식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번 작성해놓은 양식은 복사하여 내용만 바꿔서 사용이 가능함에

여러 가지 테스트로 만들어 보시고 적합한 양식을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작성된 내용 중 수정해야 하거나 추가했으면 하는 내용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90년대생 직장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