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07

MS SQL 기초 #1. INSERT 구문

안녕하세요. 「OkayS2」입니다. MS SQL의 INSERT 구문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기본 INSERT 구문 신규 테이블의 칼럼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이다. INSERT INTO 테이블명(칼럼1,칼럼2,칼럼3,....) values(데이터1,데이터2,데이터3,......) INSERT INTO Temp_Table(Col1,Col2,Col3) values('Value1','Value2','Value3') 기존 테이블 컬럼 선택 SELECT INSERT 기존 존재하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신규 테이블에 INSERT하는 방법이다. 칼럼을 선택하여 INSERT하는 방법 INSERT INTO 신 테이블(Col1,Col2,Col3) SELECT Col1,Col2,Col3 FROM 구 테이블 신, 구 테이블의 칼럼..

IT 팁/MS SQL 2020.05.02

[엑셀 함수 #2] NETWORKDAYS 함수(날짜 계산 함수)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 함수 중 작업 일수를 구하는데 유용한 NETWORKDAYS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ETWORKDAYS 함수 소개] 시작일과 종료일 사이의 전체 워킹데이를 반환하는 함수로, 워킹데이 계산 시 주말은 기본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함수입니다. 공휴일 또는 별도 휴일을 제하고 계산하고자 할 때는 휴일 인수에 추가해주면 주말+추가 휴일을 제외한 워킹데이가 반환됩니다. [기본 구문] NETWORKDAYS(start_date, end_date, [holidays]) (1) start_date : 필수 요소로 시작일를 지정합니다. (2) end_date : 필수 요소로 종료일를 지정합니다. (3) holidays : 선택적 요소로 주말을 제외한 공휴일, 국경일 등을 제외할 ..

[엑셀 함수 #1] 날짜 함수(YEAR, MONTH, DAY)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 함수 중 특정 날짜의 년/월/일을 추출할 수 있는 YEAR/MONTH/DAY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YEAR함수의 경우 인명부를 만들다 보면 나이 계산을 위해 자주 사용하는 반면에 MONTH함수와 DAY함수를 상대적으로 사용처가 없는데요. 월 단위/일단위 자료 데이터를 취합하다 보면 분류를 위해 활용하는 논리식에 가끔씩 활용하게 됩니다. 위 함수들을 자주 사용되는 함수는 아니지만 한번만 이해해두면 편리하기 때문에 한 번씩 살펴보고 가시길 바랍니다. [함수 소개] (1) YEAR : 특정 날짜의 연도를 반환(추출)하는 함수 (2) MONTH : 특정 날짜의 월을 반환(추출)하는 함수 (3) DAY : 특정 날짜의 일자를 반환(추출)하는 함수 [YEAR함수 활용..

엑셀 활용팁 #36. 엑셀 목록선택상자 추가하기(다중 목록)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에서 다중 목록을 추가하여 첫 번째 목록 선택 값에 따라 다음 목록 값을 조건별로 다르게 불러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 업무 팁] - 엑셀 활용팁 #35. 엑셀 목록 선택 상자 추가하기(단일 목록) 앞서 공유한 목록 선택 상자를 추가하다 보면 다중 목록에 대한 필요도 생기기 마련입니다. 조건에 따른 선택사항을 다르게 가져가고 싶은데 앞서 배운 단일 목록에 'INDIRECT함수' 한개만 더 안다면 훨씬 다양한 조건에 따른 선택 목록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커피/차 분류에 따른 선택적 목록이 만들어지도록 하겠습니다. 예시로 작성할 커피/차 종류에 따른 데이터 목록을 작성합니다. 범위 선택 후 직접 입력 1. 각 열에 음영 처리된 이름으로 이..

엑셀 활용팁 #35. 엑셀 목록선택상자 추가하기(단일 목록)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에서 값 입력 시 지정된 목록에서 데이터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로 일정한 양식을 채우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동일한 값을 비슷한 명칭으로 다중으로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 분석시 명칭의 혼용으로 자료가 누락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고자 엑셀에서는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통해 사전에 작성자가 지정한 값들을 입력하였는지 확인하거나, 지정된 목록에서 값들을 선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중 작성자가 지정한 단일 목록 상자를 추가하여 사용자가 선택 입력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목록을 입력할 범위/셀 선택 2. [데이터] - [데이터 유효성 검사] 선택 3. [설정] - [제..

엑셀 활용팁 #34. 자동으로 오늘날짜 설정 및 요일 변경하기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에서 일단위로 출력 후 활용되는 점검일지에 날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에 알아보겠습니다. 현장 관리 및 사무업무를 보시는 경우 일단위로 점검해야 하는 체크리스트와 점검일지 등이 있는데요. 이때마다 매번 날짜를 입력 및 수정하여 출력하거나 내용을 입력하실 텐데 엑셀 함수 중 'TODAY'함수를 활용하시면 파일을 열 때마다 자동으로 당일의 날짜로 변경되어 별도의 날짜 수정이 필요 없습니다. 표현하고자 하는 날짜 양식을 지정하고 원하는 셀에 [=TODAY()]만 입력하시면 아래와 같이 파일을 열 때마다 자동으로 날짜가 바뀌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TODAY 함수 이해하기 - TODAY함수는 현재 컴퓨터 운영체제가 인식하고 있는 날짜를 반환하는 함수로 연도/..

엑셀 활용팁 #33. 셀 값이 0인 셀 표시하지 않기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 숫자데이터 입력값 중 '0'을 입력했을 때 셀에 '0'을 표시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로 데이터를 입력 및 관리하다보면 '0'이라는 값을 입력하는 경우가 있을텐데요 빈셀이 없도록 하고 수식의 오류를 피하기 위해 '0'을 입력하기는 하지만 수많은 숫자들이 입력된 셀들 사이에 '0'이 입력되어 있는 셀은 가독성을 해치기도 합니다. 이때 간단히 엑셀 설정만으로도 '0'값은 입력하지만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데요 사람마다 호불호가 있지만 필요하신 분은 아래 설정을 통해 표시를 없애보시길 바랍니다. 1. [엑셀 옵션] 불러오기 - [파일] -> [옵션] 클릭하여 [Excel 옵션]창 열기 - [고급] 탭 선택 후 '이 워크시트의 표시 옵션' 내 '0 ..

엑셀 활용팁 #32. 표에 자동으로 순번 입력하기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에서 가장 많이 입력하는 번호/순번을 자동으로 입력 및 수정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로 데이터를 입력하다 보면 거의 항상 첫 번째 열에 번호를 입력하게 되는데요. 데이터가 많지않다면 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자동채움과 같은 기능을 활용하실 텐데요. 자동채움 같은 경우는 수십/수백 행의 번호를 입력할 때 효과적으로 보이나 중간에 데이터가 삭제되거나 추가되어야 하는 경우 다시 한번 자동채움을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데이터 수정에 따른 행의 번호가 자동으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해 'ROW'함수를 활용할 수 있는데요. 'ROW'함수의 경우 입력된 셀의 행의 값을 반환하는 함수로 간단한 수식을 추가하면 엑셀 내 데이터가 아무리 바뀌어도 항상 ..

엑셀 활용팁 #31. 카메라 기능으로 캡처하기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로 작성한 표를 깔끔하게 캡처하고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로 작성한 표를 공유하기 위해 아웃룩/워드 프로그램과 같은 곳에 붙여 넣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신데요. 표 범위를 선택 후 '[Ctrl]+[C]' 복사하고 '[Ctrl]+[V]' 붙여 넣는 경우 엑셀 서식과 글자크기 등 여러 옵션이 같이 복사되어 원하는 모양으로 붙여넣기가 힘드실 겁니다. 이때 엑셀 [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 숨어있는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면 보다 편리하고 깔끔하게 작성되 표를 그대로 복사할 수 있는데요. 아래 내용을 따라 [빠른 실행 도구 모음]으로 등록하여 사용하시면 업무상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공유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1. [카메라] 기능을 [빠른 실행 도구 모..

엑셀 활용팁 #30. 선택하여 붙여넣기(복사한 셀 연산으로 붙여넣기)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로 표 작성 시 유용한 선택하여 붙여넣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로 작업하다보면 여러 연산을 위해 기존에 작성한 표에 열을 추가하고 '='기호와 함께 함수와 연산기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실 겁니다. 연산 관계가 복잡하거나 Raw Data 변화에 따른 여러 실적이 보여야 하는 경우에 여러 열을 추가하고 원하는 함수를 기록하는 방법이 효율적이지만 간혹 간단한 연산만 쉽게 하면 편리한 경우가 있습니다. 엑셀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복사'와 '붙여넣기' 중 선택하여 붙여 넣기를 알게 되는 순간 다양한 환경에서 엑셀 작업의 시간을 단축해 줄 것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한 상황을 가정하겠습니다.) 1) 하기 표는 한 가게에서 파는 물품의 가격표입니다. 2) 세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