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07

엑셀 활용팁 #22. 엑셀 파일을 PDF파일로 저장(변환)하기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 프로그램으로 작성한 자료를 PDF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로 자료를 작성하고 공유 또는 저장 시 파일 수정을 예방하거나 관리의 편의를 위해 PDF 파일로 저장하면 편리한데요. 2010 버전 이전에는 별도의 변화 프로그램을 필요로 했지만 지금은 단순한 저장형식만 변경하는 것으로 PDF 파일을 누구나 만들어 낼 수 있기에 간단히 방법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파일]탭 - [내보내기] - [PDF/XPS 문서 만들기] 클릭 2. [파일 이름] 작성 후 게시 완료 1) 파일 형식 : PDF확장자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2) '게시 후 파일 열기' : PDF 파일 작성 후 점검을 위해 PDF 파일을 실행할지 말지 결정합니다..

엑셀 활용팁 #21. 리본 메뉴 숨기기(축소/확장)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 프로그램에 상단에 위치한 리본 탭/메뉴를 숨기고 보이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 프로그램의 리본 탭과 메뉴는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기능)들을 명령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직관적이면서 편리하게 마우스 클릭만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간혹 리본 메뉴의 공간이 화면을 많이 차지하는 경우 잠깐씩 숨겨야 하는 경우가 생기기 마련인데요. 엑셀에서는 총 3개의 리본 메뉴 표시 옵션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평상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옵션을 선택하되 가끔씩 잠깐 숨기고/보이기가 필요한 경우 [Ctrl] + [F1] 단축키로 리본 메뉴를 최소화하고 원래대로 복원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에서 엑셀 상단의 리본메뉴 구성과 표시 옵션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엑셀 활용팁 #20. 범위 이름 설정하기(이름관리자)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워크시트의 특정 범위를 이름으로 설정하고 정의된 이름으로 특정 범위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로 수많은 데이터를 작성하는 경우 하나의 워크시트에 다수의 표들이 존재하거나 데이터가 많이 축적되어 있는 경우 특정 범위를 찾아 선택하기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 사용자가 자주 찾는 특정 범위인 셀들을 하나의 이름으로 정의하면 필요한 경우 정의된 이름만으로 범위를 쉽게 찾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나중에 매크로와 VBA에 관심을 가지게 되신다면 특정 범위의 이름 설정으로 보다 쉽게 프로그램을 짜실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에서 특정 표와 특정 열의 범위에 이름을 지정하여 이름 관리자를 통해 선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름을 설정하고자 하는 범위 선택 (예시..

엑셀 활용팁 #19. 다수의 Sheet(시트)에서 원하는 Sheet(시트) 선택하기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로 다수의 Sheet(시트)로 이루어진 파일에서 원하는 Sheet(시트)로 바로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로 데이터를 정리하고 취합하다 보면 시트가 어느덧 10개를 넘어가 화면 하단에 한번에 보이지 않게 되는데요. 시트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시트 이동을 위해 수많은 마우스 클릭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18년 1월부터 19년 9월까지 누계 데이터를 취합한다 가정해보겠습니다. 최신 자료를 취합하다가 간혹 앞쪽의 데이터 시트를 열람하고 싶은 경우 화면에 보이지 않는 시트 개수만큼 시트탭을 앞쪽으로 넘겨야 하는데요 이때 마우스 클릭만으로 앞으로 갔다가 돌아오는게 불편합니다. (특이나 시트명이 긴 경우 한화면에 보이는 시트가 적어 불편하기만 합니..

엑셀 활용팁 #2. 엑셀 사진/그림 삽입하기('캡처도구' 활용하기)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에 사진을 삽입하는 방법'들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에서 사무업무 양식의 대부분을 엑셀로 활용하는 이유는 표와 함수를 통해 다양한 통계자료를 쉽게 만들 수 있는 장점도 있지만 가장 간편하고도 깔끔하게 표양식을 작성할 수 있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통계자료는 기본적인 양식이 정해져 있지만 일반적으로 직장인들이 엑셀로 정리표를 작성한다면 대부분 조사한 자료에 대해 보고하기 위한 표를 작성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표를 작성하면서 이해를 돕기 위해 참조 사진을 시각적 자료로 많이들 넣으실 텐데요. 이때 다수의 사진을 넣고 편집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 OS를 사용하는 경우 '캡처 도구'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캡처 도구'는 ..

엑셀 활용팁 #18. 셀 대각선(사선) 그리기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로 보고서 작성 시 표의 행과 열을 구분하는 기준 셀에 대각선을 긋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로 회사 자료를 작성하다 보면 보고서에 첨부할 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표의 첫 번째 행과 열의 기준을 구분하기 위해 대간선으로 구분선을 넣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때 셀 내부에 대각선(사선)을 긋고 내용까지 적어보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표의 기본 틀 작성하기 (예시로 이름별 직위를 표시하는 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 표 첫행의 첫셀에 기준 대각선을 그리기 위해선 행 높이가 현재 글자크기로 2줄 작성이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2. 표의 첫 행을 선택한 뒤 셀 서식 창을 불러옵니다. ※ 셀 서식 창 불러오는 방법 (1) 리본 메뉴의 [홈] ..

엑셀 활용팁 #17. 자주 사용하는 문자 등록하기(자동 고침 옵션)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자들을 등록하여 자동으로 고쳐주거나 완성시켜주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로 회사 자료를 작성하다 보면 협력사들의 회사명과 회사에서 만드는 제품명들을 반복적으로 적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저 또한 회사에서 생산하는 제품명이 숫자와 영문으로 섞여있어 한글로 작성 중 '한/영'키를 여러번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오타도 많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모두다 해결할 수는 없지만 본인의 업무에서 자주 입력하는 데이터를 사전에 등록하여 간단한 문구 입력만으로도 자동고침이 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1. 엑셀 [자동 고침] 창 열기 (1) 엑셀의 [파일] 앱에서 [옵션]을 클릭합니다. (2) [Excel 옵션] 창에서 [언어 교정] - [자..

엑셀 활용팁 #16. 엑셀단축키 모음⑧('F'숫자키)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 단축키 모음 여덟 번째로 'F'숫자키 단축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간략히 기능들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F1] = 도움말 [F2] = 현재 셀 편집 [F3] = 셀 이름 넣기 [F4] = 마지막 작업 반복 [F5] = 이동 [F7] = 맞춤법 검사 [F9] = 모두 다시 계산 [F10] = 메뉴 활성화 [F11] = 현재 범위 차트 만들기 [F12] = 다른 이름으로 저장 지난 시간에 소개한 [Ctrl] + [Shift] + [→], [←], [↑], [↓]를 지금까지 셀 선택을 위해 위 단축키만 사용하셨다면 이번 시간에 소개하는 내용도 살펴보시면 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단축키들이 있다는 걸 느끼실 겁니다. 특히 오늘은 셀 서식을 간단히 설정할 수..

엑셀 활용팁 #15. 엑셀단축키 모음⑦([Ctrl] + [Shift] + )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 단축키 모음 일곱번째로 [Ctrl] + [Shift] 키를 활용한 단축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간략히 기능들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Ctrl] + [Shift] + [2(@)] = 셀 서식을 시간형으로 변경 [Ctrl] + [Shift] + [3(#)] = 셀 서식을 날짜형으로 변경 [Ctrl] + [Shift] + [4($)] = 셀 서식을 통화형으로 변경 [Ctrl] + [Shift] + [5(%)] = 셀 서식을 백분율로 변경 [Ctrl] + [Shift] + [6(^)] = 셀 서식을 지수형으로 변경 [Ctrl] + [Shift] + [7(&)] = 셀 괘선 외곽선 설정 [Ctrl] + [Shift] + [ _ ] = 셀 외곽선 테두리 제거 [C..

엑셀 활용팁 #14. 엑셀단축키 모음⑥(선택 단축키)

「90년대생 직장인」입니다. 오늘은 엑셀 단축키 모음 여섯번째로 [Shift] 키를 활용한 선택 단축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간략히 기능들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Shift] + [→], [←], [↑], [↓] = 선택한 셀과 키보드 방향의 셀 선택 [Ctrl] + [Shift] + [→], [←], [↑], [↓] = 선택한 셀과 방향키 끝셀까지 선택 [Shift] + [Space bar] = 행 전체 선택 [Ctrl] + [Space bar] = 열 전체 선택 (※행/열 전체 선택 후 '[Ctrl] + [+/-]'키를 누르면 선택된 행과 열을 추가/삭제 가능) [Shift] + [Page up] / [Page down] = 선택된 셀과 엑셀에 보이는 행 개수만큼 엑셀로 자료를 작성하다 보..

728x90
반응형